주요연구성과 / ko "AI로 멸종위기종 지킨다”서울시립대, 유네스코 국제 공모전 결선 진출 /node/7860 <span>"AI로 멸종위기종 지킨다”서울시립대, 유네스코 국제 공모전 결선 진출</span> <span><span>YY2020197</span></span> <span>2025-07-07 (월) - 09:56</span>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main-img field--type-image field--label-hidden field__item"> <div class="item-image"> <img loading="lazy" src="/sites/default/files/2025-07/%EC%82%AC%EC%97%85-%EC%84%A0%EC%A0%95-008.png" alt="결선" /></div> </div> <div class="field field--name-body field--type-text-with-summary field--label-hidden field__item"><p>AI를 활용하여 환경오염물질이 멸종위기종 서식지에 미치는 독성 영향 예측</p><p>지속 가능한 환경 보호와 국제적 과학 소통의 중요성 강조</p><p> </p><p>서울시립대학교(총장 원용걸) 환경공학부 최진희 교수 연구팀이 유네스코(UNESCO)와 태국 전자거래개발원(ETDA)이 공동 주최한 <strong>국제 AI 공모전 ‘Beyond Green: AI for a Thriving Future Pitch Competition’에 참가하여,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멸종위기종 보호 플랫폼 개발 및 연구 성과로 최종 결선에 진출</strong>했다.</p><p> </p><p> </p><figure role="group"><img data-entity-type="file" data-entity-uuid="1cf9ae48-f081-4847-a533-d8c9c9cbfbdb" src="/sites/default/files/inline-images/%ED%8F%AC%EC%8A%A4%ED%84%B0%2C%20%EB%B0%9C%ED%91%9C%20%EC%82%AC%EC%A7%84%20%ED%95%A9%EB%B3%B8.png" width="86.58%" height="877" loading="lazy" /><figcaption>멸종위기종 서식지 내 환경오염물질 위해성 예측을 위한 AI 모델 구축 및 활용 포스터 및 발표 사진</figcaption></figure><p> </p><p> </p><p>이번 공모전은 태국, 러시아, 필리핀, 미국, 스페인, 한국 등 다양한 국가의 연구팀이 참가한 가운데 1·2차 심사를 거쳐 상위팀이 선정되었다. 최진희 교수 연구팀은 혁신성, 실현 가능성, AI 윤리 정합성 및 학문적 기여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최종 결선에 진출했으며, 결선 발표는 2025년 6월 23일부터 27일까지 태국 방콕에서 열린 ‘글로벌 AI 윤리 포럼(Global Forum on the Ethics of AI 2025)’에서 진행되었다. </p><p><strong>연구팀은 멸종위기종의 서식지와 지역에서 배출되는 미세플라스틱, 미세먼지, PFAS 등 다양한 환경오염물질 정보를 바탕으로, 화학물질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여 독성을 예측하는 AI 플랫폼 개념을 제안하였다. </strong>특히 화학물질의 독성 평가에 GHS(Globally Harmonized System) 기준을 활용하여 생태계 위험을 예측하고 결과를 시각화하는 방식의 컨셉을 소개하여, 정책적 활용 가능성과 기술의 실효성을 함께 제시하였다.</p><p> </p><p>이번 연구에는 환경공학과 석사과정의 안시열 학생과 정지용 학생이 공동 참여하여 연구성과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AI 기술을 활용한 환경 보호 분야의 연구를 고도화하고, 국제 공동연구 등을 통해 글로벌 환경문제와 지속 가능한 환경 보호 실현에 선도적인 역할을 해나갈 계획이다.</p><p> </p><figure role="group"><img data-entity-type="file" data-entity-uuid="d55932d7-4a65-4199-b277-524ba86cd531" src="/sites/default/files/inline-images/%EC%82%AC%EC%A7%84%202_%EC%97%B0%EA%B5%AC%EC%9E%90%20%EC%82%AC%EC%A7%84%20%ED%95%A9%EB%B3%B8.png" width="62.89%" height="607" loading="lazy" /><figcaption>좌측부터 최진희 교수, 안시열 학생, 정지용 학생</figcaption></figure><p> </p><p>최진희 교수는 “이번 국제 포럼 참여를 통해 우리 연구팀의 기술을 세계적 무대에 소개하고, 관련 연구의 국제 협력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였다"며 "앞으로의 연구에서도 글로벌 차원의 협력과 기술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하였다.</p><p> </p><p> </p></div>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cat1 field--type-entity-reference field--label-above"> <div class="field__label">1차분류</div> <div class="field__item"><a href="/taxonomy/term/190" hreflang="ko">주요연구성과</a></div> </div>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cat2 field--type-entity-reference field--label-above"> <div class="field__label">2차분류 주요연구성과</div> <div class="field__item"><a href="/taxonomy/term/204" hreflang="ko">연구논문</a></div> </div> Mon, 07 Jul 2025 00:56:46 +0000 YY2020197 7860 at 화학공학과 유종석 교수 연구팀, 계산화학 기반 메탄가스를 메탄올로 직접 전환하는 차세대 촉매 기술 개발 /node/7843 <span>화학공학과 유종석 교수 연구팀, 계산화학 기반 메탄가스를 메탄올로 직접 전환하는 차세대 촉매 기술 개발</span> <span><span>YY2020197</span></span> <span>2025-07-04 (금) - 13:00</span>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main-img field--type-image field--label-hidden field__item"> <div class="item-image"> <img loading="lazy" src="/sites/default/files/2025-07/%EC%82%AC%EC%97%85-%EC%84%A0%EC%A0%95-007.png" alt="화학공학과 유종석 교수 연구팀" /></div> </div> <div class="field field--name-body field--type-text-with-summary field--label-hidden field__item"><blockquote><p>고려대·서강대와 공동연구, ‘꿈의 반응’ 실현… Nature Catalysis(IF:44.6)에 논문 게재</p></blockquote><p> </p><p>화학공학과 유종석 교수 연구팀이 고려대학교 문준혁 교수, 서강대학교 이진원 교수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IrO₂(이리듐 산화물) 전극 촉매를 활용해 저온에서도 메탄가스를 메탄올로 직접 전환할 수 있는 고효율 촉매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p><p> </p><p>메탄은 높은 에너지 효율과 낮은 오염물질 배출, 풍부한 자원량, 기존 에너지 인프라와의 뛰어난 호환성 등으로 인해 차세대 청정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기체 상태라는 물리적 특성상 수송과 저장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메탄을 액체 연료인 메탄올로 전환하는 기술 개발이 오랜 기간 추진되어 왔다. 특히 이 반응은 촉매 과학 분야에서 ‘꿈의 반응(Holy Grail reaction)’으로 불릴 만큼 어려운 난제로, 학문적·산업적으로 큰 관심을 받아왔다.</p><p> </p><figure role="group"><img data-entity-type="file" data-entity-uuid="4f6558aa-fc1c-4db9-b552-408e4cf79037" src="/sites/default/files/inline-images/13.%20%EC%9C%A0%EC%A2%85%EC%84%9D%20%EC%97%AC%EA%B6%8C%20%281%29.jpg" width="21.83%" height="531" loading="lazy" /><figcaption>화학공학과 유종석 교수</figcaption></figure><p> </p><p>이번 연구에서 유 교수팀은 계산화학 기법을 활용해 메탄-메탄올 전환 반응의 근본적인 병목 현상을 규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IrO₂ 전극 촉매 표면에 활성 산소종이 높은 표면 덮힘율로 안정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핵심임을 밝혀냈다. 이어서, 카보네이트(CO₃²⁻) 이온을 산화제로 활용할 경우 이러한 표면 조건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메탄을 메탄올로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음을 이론적으로 입증하였다. 해당 결과는 고려대학교 문준혁 교수 연구팀의 실험을 통해 실제 반응 조건에서 성공적으로 검증되었으며, 서강대학교 이진원 교수 연구팀의 공정 분석을 통해 실용화 가능성 또한 확인되었다.</p><p> </p><p>이번 연구는 탄소중립 사회 실현과 고부가가치 화학제품 생산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핵심 기반 기술로 평가받고 있으며, 혁신적인 에너지 전환 기술의 패러다임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국내외 학계와 산업계의 큰 주목을 받고 있다.</p><p> </p><p>한편, 이번 연구성과는 촉매 과학 분야 최고 권위 학술지인 ‘Nature Catalysis (IF: 44.6)’에 “<strong>High-selectivity room-temperature partial oxidation of methane to methanol enabled by electrochemical oxygen promotion on IrO2 catalysts</strong>”라는 제목으로 2025년 7월 4일자로 게재되었다.</p><p> </p><p>링크 : <a href="https://www.nature.com/articles/s41929-025-01363-0">High-selectivity room-temperature partial oxidation of methane to methanol enabled by electrochemical oxygen promotion on IrO2 catalysts | Nature Catalysis</a></p></div>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cat1 field--type-entity-reference field--label-above"> <div class="field__label">1차분류</div> <div class="field__item"><a href="/taxonomy/term/190" hreflang="ko">주요연구성과</a></div> </div>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cat2 field--type-entity-reference field--label-above"> <div class="field__label">2차분류 주요연구성과</div> <div class="field__item"><a href="/taxonomy/term/204" hreflang="ko">연구논문</a></div> </div> Fri, 04 Jul 2025 04:00:00 +0000 YY2020197 7843 at 서울시립대, 서울 RISE사업 3개 프로젝트 최종 선정에 따른 협약 추진 /node/7839 <span>서울시립대, 서울 RISE사업 3개 프로젝트 최종 선정에 따른 협약 추진</span> <span><span>YY2020197</span></span> <span>2025-07-01 (화) - 11:01</span>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main-img field--type-image field--label-hidden field__item"> <div class="item-image"> <img loading="lazy" src="/sites/default/files/2025-07/noname01.png" alt="서울시립대학교 전경" /></div> </div> <div class="field field--name-body field--type-text-with-summary field--label-hidden field__item"><p>서울시립대학교는 서울 RISE 사업에서 총 3개 프로젝트 3개 사업의 주관대학으로 최종 선정돼 서울 RISE 센터와 협약을 맺는다고 1일 밝혔다.<br /><br />서울 RISE 사업은 대학이 서울의 미래 성장동력이라는 비전 아래 대학이 혁신 계획을 수립하고 서울시가 재정을 지원하는 체계로 운영된다. 사업 1차 연도인 올해는 일반대 26개교와 전문대 9개교 등 총 35개 대학이 선정됐다. 국비 565억 원 규모의 예산이 투입된다.<br /><br />서울시립대는 3개 프로젝트 3개 사업의 주관대학으로 선정됐다. 숭실대학교와 컨소시엄을 구성, 서울형 5대 첨단 산업을 중심으로 한 도심형 산학협력 생태계 활성화 사업을 추진한다. 대학 내 S-LAB(기술사업화 탐색 연구 전담 조직) 기반 실증 공간, 기술 사업화 연계 프로그램, 현장 중심 ICC(기업협업센터) 운영 등을 통해 지역 기반 산업체의 혁신 역량을 강화하고 고급 기술 인재 양성과 기술 창업을 촉진할 계획이다.<br /><br />또한 창업을 중심으로 상권 활성화, 돌봄, 환경, 문화·디자인 등 도심의 다양한 과제를 아우르는 지역혁신 사업을 추진한다. 주민·지자체·산업계·대학이 함께 참여하는 SI+(Seoul Impact Plus) 플랫폼 기반의 협력 거버넌스 모델을 구축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도출된 성과는 타 자치구와 지역으로 확산할 방침이다.<br /><br />마지막으로 삼육보건대학교와 함께 평생교육 고도화 사업을 통해 시민 대상 대학 교양강좌 및 맞춤형 직무 교육을 확대하고 생애주기별 학습경로 제공, 성인 학습자 맞춤형 재교육 체계 구축에 나선다. 전임교원 중심의 고품질 교양 대학 운영과 서울형 특화산업과 연계된 직업 교육 중심 커리큘럼을 통해 서울 시민의 자기 주도적 학습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br /><br />원용걸 서울시립대학교 총장은 “서울 RISE 사업을 통해 대학이 미래 첨단산업을 선도할 혁신의 주체로 전환하는 구조적 계기를 마련할 것”이라며 “국내 유일 공립대학으로서의 책무를 바탕으로 서울형 지역혁신 모델을 선도하겠다”고 밝혔다.<br /><br />원 총장은 서울특별시 시장(오세훈 시장)과 함께 서울 RISE 사업의 주요 사항을 심의·의결하는 최고 기구인 서울혁신대학지원위원회(서울라이즈위원회)의 공동위원장직을 맡고 있다.</p><p> </p><p><a href="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644899?sid=102">서울시립대, 서울 RISE사업 3개 프로젝트 최종 선정에 따른 협약 추진</a></p></div>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cat1 field--type-entity-reference field--label-above"> <div class="field__label">1차분류</div> <div class="field__item"><a href="/taxonomy/term/190" hreflang="ko">주요연구성과</a></div> </div>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cat2 field--type-entity-reference field--label-above"> <div class="field__label">2차분류 주요연구성과</div> <div class="field__item"><a href="/taxonomy/term/201" hreflang="ko">사업</a></div> </div> Tue, 01 Jul 2025 02:01:30 +0000 YY2020197 7839 at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부 최진희 교수 연구팀, 생활화학제품 생식·발달독성 예측하는 AI 모델 개발 /node/7840 <span>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부 최진희 교수 연구팀, 생활화학제품 생식·발달독성 예측하는 AI 모델 개발</span> <span><span>YY2020197</span></span> <span>2025-06-27 (금) - 16:00</span>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main-img field--type-image field--label-hidden field__item"> <div class="item-image"> <img loading="lazy" src="/sites/default/files/2025-07/%EC%82%AC%EC%97%85-%EC%84%A0%EC%A0%95-006%20%281%29.png" alt="논문이미지" /></div> </div> <div class="field field--name-body field--type-text-with-summary field--label-hidden field__item"><blockquote><h3>동물실험을 대체할 AI 기반 화학물질의 생식·발달독성 예측 모델 개발</h3><h3>생활화학제품의 위해성 관리 및 안전한 설계에 활용 기대</h3></blockquote><p> </p><p>서울시립대학교(총장 원용걸) 환경공학부 최진희 교수 연구팀이 인공지능(AI) 기반의 생식·발달독성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생활화학제품 내 물질의 위해성 관리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밝혔다.</p><p> </p><p>이번 연구에는 환경공학과 박사과정의 김동현 학생과 석사과정의 안시열 학생이 제1·2저자로 참여했으며, 연구결과는 6월 18일 환경과학 분야 국제 저명 학술지 Environment International(2024년도 JCR 기준 Impact Factor=9.7, 분야 상위 약 7% 이내)에 “Identification of developmental and reproductive toxicity of biocides in consumer products using ToxCast bioassays data and machine learning models”라는 제목으로 온라인 게재되었다.</p><figure role="group"><img data-entity-type="file" data-entity-uuid="e7a8c305-98b7-4b85-b3fa-26368c18916f" src="/sites/default/files/inline-images/%EC%82%AC%EC%A7%84%20%ED%95%A9%EB%B3%B8.jpg" width="500" height="350" loading="lazy" /><figcaption>환경공학부 김동현 학생, 석사과정 안시열 학생</figcaption></figure><p> </p><p> </p><p>생활화학제품은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경로로 인체에 노출될 수 있어, 여러 환경성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OECD에서 제정된 생식·발달 독성 시험 가이드라인은 동물실험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이는 노동집약적이고 고도의 숙련된 기술을 요할 뿐 아니라, 시험이 가능한 화학물질도 매우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생식·발달 독성을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p><p> </p><p>연구팀은 미국 환경보호청(U.S. EPA) ToxCast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집된 세포·분자 수준의 In vitro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자 특성과 구조 정보를 학습하는 머신러닝 기반 AI 모델을 개발했다. 해당 모델을 통해 생활화학제품 내 물질의 생식·발달 독성을 예측할 수 있었으며, 동물실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체 시험법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최근 강화되고 있는 화학물질 안전 관리에 기여할 잠재력이 있다.</p><figure role="group"><img data-entity-type="file" data-entity-uuid="2510ab61-e27e-4ecb-a74b-9060437a01d0" src="/sites/default/files/inline-images/%EC%82%AC%EC%A7%84%201_%EB%85%BC%EB%AC%B8%20%EC%9D%B4%EB%AF%B8%EC%A7%80%28%EC%97%B0%EA%B5%AC%20%EC%9B%8C%ED%81%AC%ED%94%8C%EB%A1%9C%EC%9A%B0%29.jpg" width="70.32%" height="4500" loading="lazy" /><figcaption>생식·발달독성 데이터 기반 머신러닝 모델 개발 및 활용 워크플로우</figcaption></figure><p>교신저자인 최진희 교수는 “생활화학제품의 안전성에 대한 국민적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여전히 충분한 위해성 평가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문제”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첨단 데이터과학 기술을 적용해 생활화학제품의 독성을 예측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이번 연구는 초기 단계지만, 시민 안전을 위한 중요한 기술로 앞으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p><p> </p><p>이번 연구는 환경부 ‘환경성 질환 예방관리 핵심기술 개발 사업’과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기술 개발 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되었다.</p></div>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cat1 field--type-entity-reference field--label-above"> <div class="field__label">1차분류</div> <div class="field__item"><a href="/taxonomy/term/190" hreflang="ko">주요연구성과</a></div> </div>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cat2 field--type-entity-reference field--label-above"> <div class="field__label">2차분류 주요연구성과</div> <div class="field__item"><a href="/taxonomy/term/204" hreflang="ko">연구논문</a></div> </div> Fri, 27 Jun 2025 07:00:00 +0000 YY2020197 7840 at 서울시립대 안도열 석좌 교수, 미국 국립보건원(NIH) 바이오-메디컬 응용을 위한 2025 양자컴퓨팅 챌린지 선정 /node/7827 <span>서울시립대 안도열 석좌 교수, 미국 국립보건원(NIH) 바이오-메디컬 응용을 위한 2025 양자컴퓨팅 챌린지 선정</span> <span><span>YY2020197</span></span> <span>2025-06-27 (금) - 12:00</span>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main-img field--type-image field--label-hidden field__item"> <div class="item-image"> <img loading="lazy" src="/sites/default/files/2025-06/%EC%82%AC%EC%97%85-%EC%84%A0%EC%A0%95-003%20%282%29.png" alt="양자컴퓨팅 챌린지 선정" /></div> </div> <div class="field field--name-body field--type-text-with-summary field--label-hidden field__item"><p> </p><blockquote><p><strong> “Quantum Algorithms for Clinical Risk Predictions and Diagnosis for Cardiovascular Disease" 주제로 챌린지 1단계 선정</strong></p><p><strong> 심혈관 혈류 유동 해석을 위한 Navier-Stokes 유체역학 방정식에 대한 양자 알고리즘 적용</strong></p></blockquote><p> </p><p>서울시립대학교(총장 원용걸)는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안도열 석좌 교수 연구팀이 미국 국립보건원(NIH, National Institues of Health)이 주관하는 양자 컴퓨팅 챌린지(Quantum Computing Challenge)에서 1단계 우승팀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p><p> </p><p>이번 연구는 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 영상의학과 정정임 교수 및 순환기내과 윤종찬 교수, 미국의 양자기술 전문기업 Singularity Quantum과의 협업 및 메릴랜드 대학교 국립양자연구소(Q-Lab), 그리고 아마존 AWS의 지원을 통해 이루어졌다.</p><p> </p><p><strong>* (선정주제) Quantum Algorithms for Clinical Risk Predictions and Diagnosis for Cardiovascular Disease</strong></p><p> - (연구책임자) 서울시립대학교 안도열 석좌 교수</p><p> </p><p>해당 챌린지는 미국국립보건원(NIH) 산하의 NCATS(National Center for Advancing Translation Sciences)가 주관하며, 양자 컴퓨팅 기술을 활용해 복잡한 생의학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혁신적 알고리즘을 개발을 목표로 하는 글로벌 기술 경진대회이다. 주요 주제는 ▲ 신약 개발 ▲ 임상 위험 예측 및 진단 ▲ 생의학 이미지 분석 ▲ 게놈 데이터 분석 등이며, 기존 컴퓨팅 방식으로 처리에 한계가 있는 문제를 양자 알고리즘을 통해 해결하는 것이 핵심이다.</p><p> </p><p>연구팀은 1단계에서 뛰어난 아이디어 구상 및 계획을 제안하여 전문가 패널의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전 세계 최대 10개 팀 중 하나로 선정되어 다음 단계인 'Quantum Algorith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n Quantum Hardware' 단계로 진출하게 됐다.</p><p> </p><p>안도열 교수는 7대 수학의 난제로 알려진 나비에-스토크스(Navier-Stokes) 방정식 해결을 위한 양자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본인이 설계한 양자 오류 완화(QEM:Quantum Error Mitigation)의 비마르코프(Non-Markovian) 비용함수를 사용하여 양자컴퓨터의 연산 결과를 복원하는 이론적 모델을 확립하였다. 이번 챌린지에서 도출된 양자 컴퓨팅 기반의 전산유체역학 모델은 심혈관 질환 진단은 물론 유체역학 분야에서 양자컴퓨팅의 실용적 지평을 확대할 수 있는 학문적 단초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p><p> </p><p>이러한 연구 성과는 향후 심혈관 및 뇌혈관 질환 진단 및 예방과 고속 항공 유체, 열교환기, 기후 예측 등 비선형 유체역학 방정식 해결 등 4차 산업 혁명의 신기술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p><p> </p><p>이번 연구는 미국공군 (AFOSR)이 발주한 ‘극초음속 유동 해석을 위한 양자컴퓨팅 알고리즘 개발’과제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발주한 32.5억원 규모‘NISQ 환경에서 저부하, 고효율 양자 오류 경감 기술 개발 및 응용’ 과제의 지원을 받아 수행하였다.</p><p> </p><p>한편, 안도열 교수는 반도체 레이저와 양자 정보통신에 대한 연구 업적을 세계적으로 인정받아 2005년 IEEE 펠로우, 2009년 미국물리학회(APS) 펠로우에 선정됐으며, 2016년 일리노이대학교 졸업생 중 뛰어난 업적과 공로를 이룬 인물에게 수여하는 명예 동문상인 ‘Distinguished Alumni Award’를 수상한 바 있다. 또한, 지금까지 250여 편의 SCI 논문을 발표하고 40여 건의 국제 특허를 획득했다.</p><img src="/sites/default/files/inline-images/%EA%B7%B8%EB%A6%BC%201.png" data-entity-uuid="26994b1e-c043-46db-b6b6-6a16ecc91cc1" data-entity-type="file" width="34.56%" class="align-left" height="478" loading="lazy" /><img src="/sites/default/files/inline-images/%EA%B7%B8%EB%A6%BC%202.png" data-entity-uuid="89725aae-1778-4cbc-91cf-1fca79b6ed13" data-entity-type="file" width="63.97%" class="align-left" height="552" loading="lazy" /><p class="0" style="line-height:200%;mso-padding-alt:0pt 0pt 0pt 0pt;mso-pagination:none;text-autospace:none;"> </p><p class="0" style="line-height:200%;mso-padding-alt:0pt 0pt 0pt 0pt;mso-pagination:none;text-autospace:none;"> </p><p class="0" style="line-height:200%;mso-padding-alt:0pt 0pt 0pt 0pt;mso-pagination:none;text-autospace:none;"> </p><p class="0" style="line-height:200%;mso-padding-alt:0pt 0pt 0pt 0pt;mso-pagination:none;text-autospace:none;"> </p><p class="0" style="line-height:200%;mso-padding-alt:0pt 0pt 0pt 0pt;mso-pagination:none;text-autospace:none;"> </p><p class="0" style="line-height:200%;mso-padding-alt:0pt 0pt 0pt 0pt;mso-pagination:none;text-autospace:none;"> </p><p class="0" style="line-height:200%;mso-padding-alt:0pt 0pt 0pt 0pt;mso-pagination:none;text-autospace:none;"> </p><p class="0" style="line-height:200%;mso-padding-alt:0pt 0pt 0pt 0pt;mso-pagination:none;text-autospace:none;"> </p><p class="0" style="line-height:200%;mso-padding-alt:0pt 0pt 0pt 0pt;mso-pagination:none;text-autospace:none;"> </p><p class="0" style="line-height:200%;mso-padding-alt:0pt 0pt 0pt 0pt;mso-pagination:none;text-autospace:none;"> </p><p class="0" style="line-height:120%;mso-padding-alt:0pt 0pt 0pt 0pt;mso-pagination:none;text-autospace:none;"><span style="color:#374151;font-family:Söhne;mso-fareast-font-family:Söhne;"><그림 설명> 심혈관 혈류 유동 결과와 유체역학 시물레이션 모델에 사용되는 개방형 양자스템의 도식도</span><span style="color:#374151;font-family:Söhne;letter-spacing:0pt;mso-ascii-font-family:Söhne;mso-fareast-font-family:Söhne;mso-font-width:100%;mso-text-raise:0pt;" lang="EN-US" xml:lang="EN-US" xml:lang="EN-US">.</span></p><p class="0" style="line-height:120%;mso-padding-alt:0pt 0pt 0pt 0pt;mso-pagination:none;text-autospace:none;"><span style="color:#374151;font-family:Söhne;mso-fareast-font-family:Söhne;">이 개방형 양자 시스템의 포괄적인 관점으로 전산유체역학 방정식의 해를 구하고 효과적인 오류 완화 및 양자이득 구현 전략을 고안하는 데에 대한 틀을 제공한다</span><span style="color:#374151;font-family:Söhne;letter-spacing:0pt;mso-ascii-font-family:Söhne;mso-fareast-font-family:Söhne;mso-font-width:100%;mso-text-raise:0pt;" lang="EN-US" xml:lang="EN-US" xml:lang="EN-US">.</span></p><div class="hwp_editor_board_content" id="hwpEditorBoardContent" data-hjsonver="1.0" data-jsonlen="9006"> </div><img src="/sites/default/files/inline-images/%EA%B7%B8%EB%A6%BC%203%28%EC%95%88%EB%8F%84%EC%97%B4%20%EA%B5%90%EC%88%98%EB%8B%98%29.jpg" data-entity-uuid="02b5c789-0b25-4b7d-8a1f-b76993a04fe5" data-entity-type="file" width="29.41%" height="2134" loading="lazy" /><p class="0" style="line-height:120%;mso-padding-alt:0pt 0pt 0pt 0pt;mso-pagination:none;text-autospace:none;"><span style="color:#374151;font-family:Söhne;mso-fareast-font-family:Söhne;">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안도열 석좌 교수</span></p></div>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cat1 field--type-entity-reference field--label-above"> <div class="field__label">1차분류</div> <div class="field__item"><a href="/taxonomy/term/190" hreflang="ko">주요연구성과</a></div> </div>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cat2 field--type-entity-reference field--label-above"> <div class="field__label">2차분류 주요연구성과</div> <div class="field__item"><a href="/taxonomy/term/202" hreflang="ko">수상</a></div> </div> Fri, 27 Jun 2025 03:00:00 +0000 YY2020197 7827 at 서울시립대 반도체연구센터 김윤, 박동욱 교수 공동연구팀, 그래핀 장벽층을 활용한 고신뢰성 유연 메모리 소자 개발 확보 성공 /node/7803 <span>서울시립대 반도체연구센터 김윤, 박동욱 교수 공동연구팀, 그래핀 장벽층을 활용한 고신뢰성 유연 메모리 소자 개발 확보 성공</span> <span><span>YY2020197</span></span> <span>2025-06-18 (수) - 09:33</span>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main-img field--type-image field--label-hidden field__item"> <div class="item-image"> <img loading="lazy" src="/sites/default/files/2025-06/%EC%82%AC%EC%97%85-%EC%84%A0%EC%A0%95-004%20%281%29.png" alt="서울시립대 반도체연구센터 김윤, 박동욱 교수 공동연구팀" /></div> </div> <div class="field field--name-body field--type-text-with-summary field--label-hidden field__item"><p> </p><p> </p><blockquote><p class="0" style="mso-padding-alt:0pt 0pt 0pt 0pt;mso-pagination:none;text-autospace:none;"><span style="font-family:한컴돋움;font-size:15.0pt;letter-spacing:-0.4pt;mso-fareast-font-family:한컴돋움;mso-font-width:95%;"><strong>응용과학 국제학술지 </strong></span><span style="font-family:한컴돋움;font-size:15.0pt;letter-spacing:-0.4pt;mso-ascii-font-family:한컴돋움;mso-fareast-font-family:한컴돋움;mso-font-width:95%;mso-text-raise:0pt;" lang="EN-US" xml:lang="EN-US" xml:lang="EN-US"><strong>Small Structures </strong></span><span style="font-family:한컴돋움;font-size:15.0pt;letter-spacing:-0.4pt;mso-fareast-font-family:한컴돋움;mso-font-width:95%;"><strong>논문 게재</strong></span></p><p class="0" style="mso-padding-alt:0pt 0pt 0pt 0pt;mso-pagination:none;text-autospace:none;"><span style="font-family:한컴돋움;font-size:15.0pt;letter-spacing:-1.4pt;mso-fareast-font-family:한컴돋움;mso-font-width:95%;"><strong>유연한 신경모방 메모리 소자 개발로 웨어러블</strong></span><span style="font-family:한컴돋움;font-size:15.0pt;letter-spacing:-1.4pt;mso-ascii-font-family:한컴돋움;mso-fareast-font-family:한컴돋움;mso-font-width:95%;mso-text-raise:0pt;" lang="EN-US" xml:lang="EN-US" xml:lang="EN-US"><strong>·</strong></span><span style="font-family:한컴돋움;font-size:15.0pt;letter-spacing:-1.4pt;mso-fareast-font-family:한컴돋움;mso-font-width:95%;"><strong>생체이식형 </strong></span><span style="font-family:한컴돋움;font-size:15.0pt;letter-spacing:-1.4pt;mso-ascii-font-family:한컴돋움;mso-fareast-font-family:한컴돋움;mso-font-width:95%;mso-text-raise:0pt;" lang="EN-US" xml:lang="EN-US" xml:lang="EN-US"><strong>AI </strong></span><span style="font-family:한컴돋움;font-size:15.0pt;letter-spacing:-1.4pt;mso-fareast-font-family:한컴돋움;mso-font-width:95%;"><strong>시스템 적용 기대</strong></span></p></blockquote><div class="hwp_editor_board_content" id="hwpEditorBoardContent" data-hjsonver="1.0" data-jsonlen="6611"> </div><p>서울시립대학교(총장 원용걸)는 공학연구원 반도체연구센터의 김윤, 박동욱 교수(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공동연구팀이 그래핀 확산 장벽을 도입한 유연 유기물 기반 저항변화 메모리(RRAM) 소자를 개발하여, 차세대 유연 신경모방 시스템 구현을 위한 고신뢰성 메모리 기술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p><p> </p><p>이번 연구 결과는 2025년 6월 3일, 와일리(Wiley) 출판사의 세계적 학술지 Small Structures (Impact Factor: 13.9, JCR 상위 6.9%)에 ‘Flexible and Reliable Parylene-C 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Array with Graphene Barrier for Neuromorphic Systems’라는 제목으로 게재되었다.</p><p> </p><p>연구팀은 유연 양이온 기반 RRAM 소자에서 전도성 필라멘트의 과성장으로 인한 신뢰성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저항 스위칭 층(Parylene-C)과 비활성 전극(Pt) 사이에 그래핀 확산 장벽을 도입했다. 이를 통해 금속 이온의 과도한 확산을 효과적으로 억제해 기존 유기물 기반 소자 대비 약 9배 향상된 내구성을 확보했으며, 10,000회 이상의 구동 후에도 안정적인 저항 상태를 유지하는 성능을 확인했다.</p><p> </p><p>연구팀은 RRAM 소자를 배열 단위로 집적할 수 있는 크로스바 어레이 구조로 구현했으며, Modified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MNIST)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인공신경망 시뮬레이션을 통해 해당 소자가 뉴로모픽 컴퓨팅 응용에 적합함을 입증했다.</p><img src="/sites/default/files/inline-images/%EC%82%AC%EC%A7%841_%EA%B4%80%EB%A0%A8%20%EC%82%AC%EC%A7%84_0.jpg" data-entity-uuid="14495e3f-91df-4fb0-970d-44165135d761" data-entity-type="file" width="77.93%" height="2353" loading="lazy" /><p class="text-align-center 0" style="mso-padding-alt:0pt 0pt 0pt 0pt;mso-pagination:none;text-autospace:none;word-break:keep-all;"><span style="letter-spacing:0pt;mso-fareast-font-family:한양신명조;mso-font-width:100%;mso-text-raise:0pt;" lang="EN-US" xml:lang="EN-US" xml:lang="EN-US">(</span><span style="font-family:한양신명조;mso-fareast-font-family:한양신명조;">왼쪽</span><span style="letter-spacing:0pt;mso-fareast-font-family:한양신명조;mso-font-width:100%;mso-text-raise:0pt;" lang="EN-US" xml:lang="EN-US" xml:lang="EN-US">) </span><span style="font-family:한양신명조;mso-fareast-font-family:한양신명조;">유연 </span><span style="letter-spacing:0pt;mso-fareast-font-family:한양신명조;mso-font-width:100%;mso-text-raise:0pt;" lang="EN-US" xml:lang="EN-US" xml:lang="EN-US">Parylene-C </span><span style="font-family:한양신명조;mso-fareast-font-family:한양신명조;">기반 </span><span style="letter-spacing:0pt;mso-fareast-font-family:한양신명조;mso-font-width:100%;mso-text-raise:0pt;" lang="EN-US" xml:lang="EN-US" xml:lang="EN-US">RRAM </span><span style="font-family:한양신명조;mso-fareast-font-family:한양신명조;">소자 </span><span style="letter-spacing:0pt;mso-fareast-font-family:한양신명조;mso-font-width:100%;mso-text-raise:0pt;" lang="EN-US" xml:lang="EN-US" xml:lang="EN-US">(</span><span style="font-family:한양신명조;mso-fareast-font-family:한양신명조;">오른쪽</span><span style="letter-spacing:0pt;mso-fareast-font-family:한양신명조;mso-font-width:100%;mso-text-raise:0pt;" lang="EN-US" xml:lang="EN-US" xml:lang="EN-US">) </span><span style="font-family:한양신명조;mso-fareast-font-family:한양신명조;">그래핀 장벽 도입에 따른 전류</span><span style="letter-spacing:0pt;mso-fareast-font-family:한양신명조;mso-font-width:100%;mso-text-raise:0pt;" lang="EN-US" xml:lang="EN-US" xml:lang="EN-US">-</span><span style="font-family:한양신명조;mso-fareast-font-family:한양신명조;">전압 특성</span></p><div class="hwp_editor_board_content" id="hwpEditorBoardContent" data-hjsonver="1.0" data-jsonlen="5868"> </div><div class="hwp_editor_board_content" id="hwpEditorBoardContent" data-hjsonver="1.0" data-jsonlen="5868">공동교신 저자인 김윤, 박동욱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는 유연 유기물 기반 메모리 소자의 신뢰성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저항 스위칭 층과 불활성 전극 사이에 그래핀 장벽층을 도입하는 방식을 새롭게 적용했다”며, “웨어러블이나 생체이식형 디바이스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요구되는 안정적인 메모리 기술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div><p> </p><p>이번 연구에는 서울시립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이선정, 김수경 연구원이 공동 제1저자로 참여했으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원하는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대학ICT연구센터사업, 한국연구재단(NRF)의 시스템반도체 융합전문인력 육성사업 및 글로벌기초연구실지원사업, 산업통상자원부가 지원하는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의 산업혁신인재성장지원사업과 서울시립대학교 반도체연구센터의 연구 인프라를 바탕으로 수행됐다.</p><p> </p><p><img src="/sites/default/files/inline-images/%EC%82%AC%EB%B3%B8%20-%EA%B7%B8%EB%A6%BC2_%EC%97%B0%EA%B5%AC%ED%8C%80%20%EC%82%AC%EC%A7%84%28%EC%9D%B4%EC%84%A0%EC%A0%95%2C%20%EA%B9%80%EC%88%98%EA%B2%BD%2C%20%EB%B0%95%EB%8F%99%EC%9A%B1%2C%20%EA%B9%80%EC%9C%A4%29_0.png" data-entity-uuid="7aedef9c-ca28-4f53-a66c-c81a30ebf3b2" data-entity-type="file" width="80.19%" height="1034" loading="lazy" /></p><p>(왼쪽부터) 이선정 · 김수경 연구원, 박동욱 · 김윤 교수</p><p> </p><p>한편, 서울시립대학교 반도체연구센터는 최근 ‘UOS Fab’을 개소하며 첨단 반도체 융합 연구 거점으로 도약하기 위한 본격적인 행보를 시작했다. 해당 센터는 클린룸 기반으로 설계부터 제작 및 분석까지 전 주기에 걸친 반도체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연구 인프라를 구축하였다. 또한, 대학생 및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실습 교육은 물론, 기업 맞춤형 산학 프로젝트를 통해 실무형 인재양성과 국내 반도체 산업 기술 혁신의 거점으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다.</p></div>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cat1 field--type-entity-reference field--label-above"> <div class="field__label">1차분류</div> <div class="field__item"><a href="/taxonomy/term/190" hreflang="ko">주요연구성과</a></div> </div>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cat2 field--type-entity-reference field--label-above"> <div class="field__label">2차분류 주요연구성과</div> <div class="field__item"><a href="/taxonomy/term/204" hreflang="ko">연구논문</a></div> </div> Wed, 18 Jun 2025 00:33:02 +0000 YY2020197 7803 at 서울시립대 정재성 연구교수, 'Post-Doc. 성장형 연구지원' 신규과제 선정 /node/7783 <span>서울시립대 정재성 연구교수, 'Post-Doc. 성장형 연구지원' 신규과제 선정</span> <span><span>YY2020197</span></span> <span>2025-06-16 (월) - 15:42</span>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main-img field--type-image field--label-hidden field__item"> <div class="item-image"> <img loading="lazy" src="/sites/default/files/2025-06/2.png" alt="'Post-Doc. 성장형 연구지원" /></div> </div> <div class="field field--name-body field--type-text-with-summary field--label-hidden field__item"><p>(왼쪽부터) 환경공학부 정재성 연구교수, 최진희 교수</p><p> </p><p> </p><blockquote><p><strong>환경공학부 최진희 교수 멘토로 참여</strong><br /><strong>AI 기반 독성 인과 모델링을 통한 독성 기전 규명 연구 본격 착수</strong></p></blockquote><p> </p><p>서울시립대학교(총장 원용걸)는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2025년도 Post-Doc.성장형 연구지원 지원사업」신규과제에 환경공학부 정재성 연구교수가 최종 선정되었다고 밝혔다.</p><p> </p><p>해당 사업은 학문후속세대 양성을 통한 국가연구역량 강화를 목표로 박사후연구원이 우수 전임교원과 멘토-멘티 기반으로 수행하는 혁신적 연구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앞으로 3년간 총 2억 가량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p><p> </p><p>환경공학부 정재성 연구교수는 환경공학부 최진희 교수와 멘티-멘토가 되어 “AI 기반 확률적 인과 모델링을 통한 PFAS와 질환 간 독성 기전 규명”을 주제로 연구를 수행한다. 이번 연구는 문헌, 독성, 역학 데이터를 AI 기반으로 통합하고,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활용한 확률적 인과 모델링을 통해 PFAS와 질환 간 독성발현경로 및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주요 독성 경로와 민감 바이오마커를 도출하고, 과학적 독성 평가 및 화학물질 규제의 새로운 기반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p><p> </p><p>연구책임자인 정재성 연구교수는 “본 연구를 통하여 PFAS와 같은 복잡한 환경유해물질의 질병 유발 기전을 명확히 규명하고, AI 기반 독성예측 기술의 신뢰성과 활용 가능성을 입증함으로써, 향후 독성 평가와 화학물질 규제 정책 수립에 실질적인 과학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p><p> </p><p>한편,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은 연구자들의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해 사업 공고 안내, 중대형 유치경비 지원사업, 연구행정인력지원사업 등을 통해 연구자 수요 맞춤형 행정 인프라를 제공하고 있다.</p></div>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cat1 field--type-entity-reference field--label-above"> <div class="field__label">1차분류</div> <div class="field__item"><a href="/taxonomy/term/190" hreflang="ko">주요연구성과</a></div> </div>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cat2 field--type-entity-reference field--label-above"> <div class="field__label">2차분류 주요연구성과</div> <div class="field__item"><a href="/taxonomy/term/201" hreflang="ko">사업</a></div> </div> Mon, 16 Jun 2025 06:42:02 +0000 YY2020197 7783 at 서울시립대 조익훈 교수, 한국연구재단 ‘글로벌 기초연구실 지원사업’신규과제 최종 선정 /node/7782 <span>서울시립대 조익훈 교수, 한국연구재단 ‘글로벌 기초연구실 지원사업’신규과제 최종 선정</span> <span><span>YY2020197</span></span> <span>2025-06-16 (월) - 15:34</span>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main-img field--type-image field--label-hidden field__item"> <div class="item-image"> <img loading="lazy" src="/sites/default/files/2025-06/1.png" alt="글로벌 기초연구실 지원사업" /></div> </div> <div class="field field--name-body field--type-text-with-summary field--label-hidden field__item"><blockquote><p><strong>조익훈 교수 연구팀, 간-호흡기 상호작용 기반 질병의 병태생리학적 기전 규명 연구 본격화...</strong></p></blockquote><p> </p><p>서울시립대학교(총장 원용걸) 생명과학과 조익훈 교수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글로벌 기초연구실 지원사업’신규과제에 최종 선정됐다.<br />‘글로벌 기초연구실 지원사업’은 소규모 기초 연구그룹의 글로벌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R&D)으로, 세계를 선도하는 과학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심화형’과 ‘개척형’ 두 유형으로 우수 연구팀을 선정·지원하고 있다.</p><p><br />서울시립대학교 생명과학과 조익훈 교수(연구책임자) 연구팀은 김완태 교수, 환경원예학과 김승일 교수, 성균관대 화학과 이원화 교수가 참여하고, ‘간-호흡기 병태·생리학적 상호네트워크 연구실’이라는 주제로 글로벌 기초연구실(심화형) 분야에 선정되어, 2025년 6월부터 2027년 5월까지 총 3년 동안 총 15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연구를 수행하게 된다.</p><p><br />공동연구팀은 간질환이 호흡기 기능 저하를 유발하는 병태생리학적 기전을 규명하고, 신호 전달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새로운 치료 표적과 바이오마커를 발굴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특히, 간 섬유화·간경변 환자에서 빈번히 동반되는 폐 손상 메커니즘을 집중 분석하며, 첨단 다중오믹스 분석 기술과 빅데이터 기반 신호전달 네트워크를 규명하고자 한다. </p><p><br />연구팀은 이번 과제에서 간유래 폐손상 표적치료제 후보물질 2종을 발굴하고, 신규 바이오마커 기반 진단키트 개발을 목표로 한다. 또한, 이번 연구는 ‘메모리얼 슬로완 케터링 암센터’와의 국제공동연구로 수행되며, 간-호흡기 복합질환 치료패러다임 전환을 이끌 것으로 기대된다.</p><p><br />연구책임자인 조익훈 교수는 “본 연구를 통하여 간-폐 축의 핵심 신호전달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신규 진단, 치료 표적을 발굴함으로써, 간질환 유발 호흡기 손상 환자들의 삶의 질 혁신을 이끌어낼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p><p><br />한편,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은 연구자들의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해 사업 공고 안내, 중대형 유치경비 지원사업, 연구행정인력지원사업 등을 통해 연구자 수요 맞춤형 행정 인프라를 제공하고 있다.</p><p> </p><p>[기사출처] <a href="https://www.hani.co.kr/arti/economy/biznews/1201208.html">서울시립대학교 조익훈 교수, 한국연구재단‘글로벌 기초연구실 지원사업’신규과제 최종 선정</a></p></div>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cat1 field--type-entity-reference field--label-above"> <div class="field__label">1차분류</div> <div class="field__item"><a href="/taxonomy/term/190" hreflang="ko">주요연구성과</a></div> </div>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cat2 field--type-entity-reference field--label-above"> <div class="field__label">2차분류 주요연구성과</div> <div class="field__item"><a href="/taxonomy/term/201" hreflang="ko">사업</a></div> </div> Mon, 16 Jun 2025 06:34:59 +0000 YY2020197 7782 at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강예구 교수, 산학연 Collabo R&D사업 선정 /node/7781 <span>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강예구 교수, 산학연 Collabo R&D사업 선정</span> <span><span>YY2020197</span></span> <span>2025-06-16 (월) - 14:57</span>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main-img field--type-image field--label-hidden field__item"> <div class="item-image"> <img loading="lazy" src="/sites/default/files/2025-06/%EC%82%AC%EC%97%85-%EC%84%A0%EC%A0%95-002%20%281%29_0.png" alt="산학연 Collabo R&D사업" /></div> </div> <div class="field field--name-body field--type-text-with-summary field--label-hidden field__item"><p style="-webkit-text-stroke-width:0px;background-color:rgb(255, 255, 255);box-sizing:border-box;color:rgb(35, 35, 35);font-family:"Pretendard Variable", Pretendard, -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system-ui, Roboto, "Helvetica Neue", "Segoe UI", "Apple SD Gothic Neo", "Noto Sans KR", "Malgun Gothic", "Apple Color Emoji", "Segoe UI Emoji", "Segoe UI Symbol", sans-serif;font-size:16px;font-style:normal;font-variant-caps:normal;font-variant-ligatures:normal;font-weight:400;letter-spacing:normal;margin-bottom:0px;margin-top:0px;orphans:2;text-align:left;text-decoration-color:initial;text-decoration-style:initial;text-decoration-thickness:initial;text-indent:0px;text-transform:none;white-space:normal;widows:2;word-spacing:0px;">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단장 이문규)은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강예구 교수가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 지원하는 국가연구개발(R&D) 사업인  「산학연 Collabo R&D사업」 에 공동기관의 연구책임자(주관 : (주)장자동화)로 참여하게 되었다고 밝혔다.</p><p style="-webkit-text-stroke-width:0px;background-color:rgb(255, 255, 255);box-sizing:border-box;color:rgb(35, 35, 35);font-family:"Pretendard Variable", Pretendard, -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system-ui, Roboto, "Helvetica Neue", "Segoe UI", "Apple SD Gothic Neo", "Noto Sans KR", "Malgun Gothic", "Apple Color Emoji", "Segoe UI Emoji", "Segoe UI Symbol", sans-serif;font-size:16px;font-style:normal;font-variant-caps:normal;font-variant-ligatures:normal;font-weight:400;letter-spacing:normal;margin-bottom:0px;margin-top:0px;orphans:2;text-align:left;text-decoration-color:initial;text-decoration-style:initial;text-decoration-thickness:initial;text-indent:0px;text-transform:none;white-space:normal;widows:2;word-spacing:0px;"> </p><p style="-webkit-text-stroke-width:0px;background-color:rgb(255, 255, 255);box-sizing:border-box;color:rgb(35, 35, 35);font-family:"Pretendard Variable", Pretendard, -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system-ui, Roboto, "Helvetica Neue", "Segoe UI", "Apple SD Gothic Neo", "Noto Sans KR", "Malgun Gothic", "Apple Color Emoji", "Segoe UI Emoji", "Segoe UI Symbol", sans-serif;font-size:16px;font-style:normal;font-variant-caps:normal;font-variant-ligatures:normal;font-weight:400;letter-spacing:normal;margin-bottom:0px;margin-top:0px;orphans:2;text-align:left;text-decoration-color:initial;text-decoration-style:initial;text-decoration-thickness:initial;text-indent:0px;text-transform:none;white-space:normal;widows:2;word-spacing:0px;">해당 사업은 산학연 협력 R&D 활성화를 통한 중소기업 혁신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복합 소규모 농업용 지능형 경로 탐색 주행 플랫폼 연구를 수행하게 된다.</p></div>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cat1 field--type-entity-reference field--label-above"> <div class="field__label">1차분류</div> <div class="field__item"><a href="/taxonomy/term/190" hreflang="ko">주요연구성과</a></div> </div>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cat2 field--type-entity-reference field--label-above"> <div class="field__label">2차분류 주요연구성과</div> <div class="field__item"><a href="/taxonomy/term/201" hreflang="ko">사업</a></div> </div> Mon, 16 Jun 2025 05:57:56 +0000 YY2020197 7781 at 인문사회분야 중견연구자 지원사업 선정 /node/7490 <span>인문사회분야 중견연구자 지원사업 선정</span> <span><span>YY2020197</span></span> <span>2025-05-29 (목) - 17:10</span>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main-img field--type-image field--label-hidden field__item"> <div class="item-image"> <img loading="lazy" src="/sites/default/files/2025-05/%EC%82%AC%EC%97%85-%EC%84%A0%EC%A0%95-006.png" alt="인문사회분야 중견연구자 지원사업" /></div> </div> <div class="field field--name-body field--type-text-with-summary field--label-hidden field__item"><p>연구책임자 가나다순</p><table style="border-collapse:collapse;"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width="1210"><thead><tr style="height:20.1pt;mso-height-source:userset;" height="26"><th class="xl67" style="height:20.1pt;width:83pt;" height="26" width="111"><strong>연구책임자</strong></th><th class="xl67" style="border-left:none;width:168pt;" width="224"><strong>소속</strong></th><th class="xl67" style="border-left:none;width:656pt;" width="875"><strong>과제명</strong></th></tr></thead><tbody><tr style="height:20.1pt;mso-height-source:userset;" height="26"><td class="xl65" style="border-top:none;height:20.1pt;" height="26">김주연</td><td class="xl69" style="border-left:none;border-top:none;">도시사회학과</td><td class="xl66" style="border-left:none;border-top:none;">야간노동자의 쉼역량 척도 개발 및 실증 연구: 사회구조적 요인에 따른 과로와 회복의 균형 탐색</td></tr><tr style="height:20.1pt;mso-height-source:userset;" height="26"><td class="xl65" style="border-top:none;height:20.1pt;" height="26">백광준</td><td class="xl68" style="border-left:none;border-top:none;">중국어문화학과</td><td class="xl66" style="border-left:none;border-top:none;">19세기 중국사절단과 서양의 문화예술 –시각예술과 그 공간을 중심으로</td></tr></tbody></table></div>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cat1 field--type-entity-reference field--label-above"> <div class="field__label">1차분류</div> <div class="field__item"><a href="/taxonomy/term/190" hreflang="ko">주요연구성과</a></div> </div>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cat2 field--type-entity-reference field--label-above"> <div class="field__label">2차분류 주요연구성과</div> <div class="field__item"><a href="/taxonomy/term/201" hreflang="ko">사업</a></div> </div> Thu, 29 May 2025 08:10:47 +0000 YY2020197 7490 at